[스크랩] 꿈에 현실을 맞추라
사람을 방해하는 것은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일어난 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다.
- 에픽테토스
박승원의 ‘아침을 여는 1분 독서’ - 제739호 (2013/01/25)
<꿈에 현실을 맞추라>
기적은...
그것을 믿는 사람에게 이루어져요.
정확하게 말하면,
당신이 원하는 삶을 꿈꾸고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때,
당신이 ‘꿈’이라고 부르는 미래의 현실에 한 발짝 가까워지는 것이죠.
꿈을 현실에 맞추지 말고, 현실을 꿈에 맞춰보세요.
(김수영,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에서)
*****
중학교를 중퇴한 소위 ‘문제아’에서
<멈추지마, 다시 꿈부터 써봐>,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를 쓰며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꿈의 씨앗을 나누고 있는 김수영은
꿈이 많지만, 지금 현실 때문에 절망하고 있는 소녀에게 말했습니다.
“꿈을 현실에 맞추지 말고, 현실을 꿈에 맞춰보세요.”
그녀는 로마의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말을 인용했습니다.
“무엇이 되고자 하는가?
그것을 먼저 자신에게 말하라.
그리고 해야 할 일을 행하라.”
그녀 또한 철학자의 말대로 했습니다.
‘되고자 하는 그 무엇(꿈)’을 먼저 쓰고 ‘해야 할 일(현실)’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삶이 바뀌었습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삶이 아닌, 꿈을 하나하나 이루며 살아가는 삶으로.
심리학교수 캐롤 드웩이 말한
두 종류의 마음가짐이 생각납니다.
하나는 고정형 마음가짐(Fixed Mindset)이고,
다른 하나는 성장형 마음가짐(Growth Mindset)이 그것입니다.
고정형 마음가짐은 모든 것이 이미 정해져 변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자세입니다.
성장형 마음가짐은 현실은 노력과 학습을 통해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세입니다.
고정형 마음가짐은 현실 때문에 꿈을 이룰 수 없다는 마음가짐이며,
성장형 마음가짐은 꿈이 있기에 현실을 바꿀 수 있다는 마음가짐입니다.
현실에 꿈을 맞추는 고정형 마음가짐을 가지면
꿈은 꿈일 뿐 현실이 될 수 없다고 믿게 됩니다.
꿈이 있더라도 암울한 현실 때문에 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당장 살기도 급한데 꿈을 생각하는 것은 쓸데없다고 말하게 됩니다.
하루하루 살아가기에 급급해 현실에 꿈을 파묻게 됩니다.
반면, 꿈에 현실을 맞추는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지면
꿈이 현실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게 됩니다.
꿈이 있기에 암울한 현실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당장 살기는 힘들지만 꿈을 위해서 힘을 낸다고 말하게 됩니다.
꿈을 이루기 위해 현실을 하나하나씩 바꿔가게 됩니다.
넬슨 만델라가 말했습니다.
“무엇을 가지고 태어났느냐가 아니라
자기가 가진 것으로 무엇을 만들어냈느냐가
사람들 간에 차이를 만든다.”
현실에 자신의 꿈을 파묻고 있는 사람의 마음가짐과
현실을 꿈으로 변화시키는 사람의 마음가짐이 차이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실에 꿈을 맞추는 사람은
무언가 뜻대로 되지 않으면 실패했다고 체념합니다.
하고 있는 일 외에 다른 일이 생기면 할 수 없다고 합니다.
결국 현실에 끌려가는 사람에게는 기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꿈에 현실을 맞추는 사람은
무언가 뜻대로 되지 않으면 경험했다고 체험으로 받아들입니다.
하고 있는 일 외에 다른 일이 생기기 전에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 꿈에 끌려가는 사람에게 기적이 일어납니다.
삶의 승자는 먼저 이상(理想)을 말하고 일상(日常)을 이끕니다.
삶의 패자는 먼저 일상(日常)을 말하고 이상(理想)을 잊습니다.
오늘 나는 무엇을 먼저 말하고 하루를 시작합니까?
**블로그 또는 카페 등에 담아가실 경우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박승원 Dream.